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의 고승(高僧)과 불교사상

info

by 북한산인 2012. 7. 11. 14:05

본문






한국의 고승(高僧)과 불교사상

 

개 강 일: 2012912

강의진행: 12(매주 수, 저녁 730)

수 강 료: 120,000(자료비 포함)

주 관: 불광연구원

 

 

최근 초기불교와 티벳불교, 서양의 불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불교에 대한 폭넓은 관심을 갖게 됨은 긍정적인 면이 있습니다. 반면, 정작 한국의 고승과 그들의 삶과 사상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합니다.

 

불광아카데미는 우리 불교 속에 살아 숨 쉬는 고승들의 삶과 사상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아, 현재적 의미를 찾아보는 과정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법고창신(法古創新)의 계기로 삼고자 합니다.

 

1

9/12

승랑(僧朗 450~530), 동아시아 불교의 초석을 다진 해동의 고승

김성철(동국대)

2

9/19

원측(圓測 613~696), 유식학의 새장을 연 신라의 학승

남무희(국민대)

3

9/26

원효(元曉 617~686), 해동불교의 신 새벽을 연 화쟁보살

김원명(외국어대)

4

10/10

의상(義湘 625~702), 일승법계도와 해동의 화엄사상

해주스님(동국대)

5

10/17

도의(道義), 남종선의 전래와 구산선문의 성립

김상현(동국대)

6

10/24

의천(義天 1055~1101), 선교를 종합한 한국 천태종의 개조

이병욱(고려대)

7

10/31

지눌(知訥 1158~1210), 위기의 고려불교를 살린 정혜결사

이덕진(문성대)

8

11/14

일연(一然 1206~1289), 고대의 신화와 설화를 집대성한 역사가

조명제(신라대)

9

11/7

태고·나옹·백운, 간화선 선풍을 드날린 여말 삼화상

황인규(동국대)

10

11/21

청허(淸虛 1520~1604), 선교를 회통한 호국의 팔도도총섭

고영섭(동국대)

11

11/28

백파와 초의, 1백년을 풍미한 조선 최대의 선문논쟁

김방용(충남대)

12

12/5

경허(鏡虛 1849~1912), 격동의 근대사를 밝힌 경허와 근대의 고승

변희욱(서울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