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박물관
2017.10.08 by 북한산인
경주 두번째 불국사 감은사지
경주 2박 3일 첫째 날
어영청 유영지
2015.04.21 by 북한산인
금위영 유영지
2015.04.17 by 북한산인
행궁터
훈련도감 유영지
성철 스님과 광덕 스님
2012.10.30 by 북한산인
buddhistory 2017. 10. 8. 10:32
감은사지
buddhistory 2017. 10. 8. 10:29
추석 연휴를 맞아 경주 방문
buddhistory 2017. 10. 8. 10:25
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은 북한산성을 축조하고 수성하던 군대였다. 어영청은 문수봉부터 의상봉까지가 임무였다. 아마 북한산성에서 가장 험준한 곳이었을게다. 그래서 그럴까? 흔적이 많이 남아있지 않다. 어영청 주둔지에는 대성암이라는 절을 복원하고 있다. 주변의 축대와 기와장,..
불광 n 북한산 2015. 4. 21. 09:19
북한산 중흥사에서 15분 걸어 행궁터를 지나면 곧이어 금위영 유영지가 나온다. 금위영은 훈련도감과 마찬가지로 산성을 쌓고 지키던 군인이다. 군인들이 산성을 지키기 위해 머물렀던 장소이다. 주둔터에는 축대가 남아있고, 금위영이 이 곳으로 이전했다는 기록을 적은 비가 아직도 선..
불광 n 북한산 2015. 4. 17. 18:14
중흥사에서 15분 걸어 올라가면 행궁터가 나온다. 북한산성은 행궁의 외호를 위해 쌓은 성이다. 북한산성 행궁은 국난 시 임금이 임시로 피난하기 위해 건축된 곳이다. 숙종, 영조, 정조가 여기를 다녀갔다. 행궁으로 유명한 곳이 남한산성과 수원 화성이다. 북한산성 행궁은 병자호란 시 ..
불광 n 북한산 2015. 4. 17. 18:06
북한산성 내에 있는 훈련도감 유영지. 산성 내에 있는 성문을 제외하면 성곽이나 유적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듯 하다. 우물도 그대로 남아있고, 이 곳이 군사들이 머물던 터임을 나타내는 표적도 그대로 남아 있다. 다만, 길이 험해서 일반 등산객들은 잘 다니지 않는 곳에 있다는 것. ..
불광 n 북한산 2015. 4. 17. 18:01
1986년 경, 광덕 스님이 성철 스님이 계신 백련암을 방문할 때의 사진이다. 미소를 짓는 성철 스님과 어느 곳을 가리키는 광덕 스님의 모습이 선명히 잡혀있다. 광덕 스님이 가리키는 저 손가락의 끝에는 백련암에 함께 하였던 불광의 형제들이 있지 않았을까? 성철 스님과 광덕 스님은 비..
불광 n 북한산 2012. 10. 30. 09:21